vim 공부(2)
LESSON 4 요약
1. CTRL-g 는 파일의 상태와 파일 내에서의 현재 위치를 표시합니다.
SHIFT-G 는 파일의 끝으로 이동합니다. 줄번호를 입력한 후 SHIFT-G를
입력하면, 그 줄로 이동합니다.
2. / 를 입력한 후 문구를 입력하면 그 문구를 아랫방향으로 찾습니다.
? 를 입력한 후 문구를 입력하면 윗방향으로 찾습니다.
검색 후, n 을 입력하면 같은 방향으로 다음 문구를 찾으며,
Shift-N 을 입력하면 반대 방향으로 찾습니다.
3. 커서가 (,),[,],{,} 위에 있을 때에 % 를 입력하면 상응하는 짝을
찾아갑니다.
4. 어떤 줄에 처음 등장하는 old를 new로 바꾸려면 :s/old/new
한 줄에 등장하는 모든 old를 new로 바꾸려면 :s/old/new/g
두 줄 #,# 사이에서 치환을 하려면 :#,#s/old/new/g
파일 내의 모든 문구를 치환하려면 :%s/old/new/g
바꿀 때마다 확인을 거치려면 'c'를 붙여서 :%s/old/new/gc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LESSON 5 요약
1. :!command 를 이용하여 외부 명령을 실행합니다.
유용한 예:
(MS-DOS) (Unix)
:!dir :!ls - 디렉토리의 목록을 보여준다.
:!del FILENAME :!rm FILENAME - FILENAME이라는 파일을 지운다.
2. :w FILENAME 하면 현재 빔에서 사용하는 파일을 FILENAME이라는 이름으로
디스크에 저장합니다.
3. :#,#w FILENAME 하면 #부터 #까지의 줄을 FILENAME이라는 파일로 저장합니다.
4. :r FILENAME 은 디스크에서 FILENAME이라는 파일을 불러들여서 커서 위치
뒤에 현재 파일을 집어넣습니다.
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
LESSON 6 요약
1. o 를 입력하면 커서 *아래에* 한 줄이 열리며, 커서는 편집 모드로
열린 줄 위에 위치하게 됩니다.
대문자 O 를 입력하면 커서가 있는 줄의 *위로* 새 줄을 열게 됩니다.
2. a 를 입력하면 커서 *다음에* 글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.
대문자 A 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그 줄의 끝에 글자를 추가하게 됩니다.
3. 대문자 R 을 입력하면 <ESC> 를 눌러서 나가기 전까지 바꾸기 모드가 됩니다.
4. ":set xxx" 를 하면 "xxx" 옵션이 설정됩니다.